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dart
- IOS
- 로그인
- Null Safety
- swift
- 이메일
- java
- Android
- 안드로이드 스튜디오
- Provider
- Kotlin
- setState
- 정보처리기사
- 1과목
- StatefulWidget
- 함수
- 회원가입
- firebase_auth
- BottomNavigationBar
- 상태관리
- UserAccountsDrawerHeader
- firebase
- Cocoa touch Framework
- GetX
- non-nullable
- flutter
- go_router
- auth
- 안드로이드
- 변수
- Today
- Total
목록정보처리기사 (3)
앱 개발 공부방

*요구사항 정의* 1.요구사항의 개념 및 특징 -요구사항은 소프트웨어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설명과 정상적으로 운영되는데 필요한 제약조건 등을 나타낸다. -소프트웨어 개발이나 유지 보수 과정에서 필요한 기준과 근거를 제공 -이해관계자들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 2.요구사항의 유형 -일반적으로 기술하는 내용에 따라 기능 요구사항, 비기능 요구사항으로 구분하며 기술 관점과 대상의 범위에 따라 시스템 요구사항과 사용자 요구사항으로 나눈다. -기능 요구사항 : ex)사용자는 회원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. 와 같이 말 그대로 기능에 관한 요구사항 -비기능 요구사항 : ex)시스템은 1년365일 하루 24시간 운용이 가능해야한다 와 같이 대부분 ..
*현행 시스템 파악* 1.현행 시스템 파악 절차 -새로 개발하려는 시스템의 개발 범위를 명확히 설정하기 위해 현행 시스템의 구성과 제공 기능, 시스템 간의 전달 정보, 사용되는 기술 요소, 소프트웨어, 하드웨어, 그리고 네트워크의 구성 등을 파악한다. -1단계 : 시스템 구성 기능 인터페이스 파악 -2단계 : 아키텍처, 소프트웨어 구성 파악 -3단계 : 하드웨어,네트웨크 구성 파악 2.시스템 구성 파악 -현행 시스템의 구성은 조직의 주요업무를 담당하는 기간 업무와 이를 지원하는 지원 업무로 구분하여 기술 -모든 정보시스템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업무에 속하는 단위 업무 정보시스템들의 명칭, 주요 기능들을 명시 3. 시스템 기능 파악 -현행 시스템의 기능은 단위 업무 시스템이 현재 제공하는 기능들을..

1.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1)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: 소프트웨어 개방 방법론의 바탕,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정의하고 운용, 유지보수 등의 과정을 각 단계별로 나눈 것(폭포수, 나선형, 프로토타입, 애자일 모형) 2)폭포수 모형 -개발 과정의 한 단계가 끝나야만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선형 순차적 모형 -가장 오래되고 폭넓게 사용된 전통적인 모형 -다음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결과물이 명확하게 산출되어야 한다. -두 개 이상의 과정이 병행하여 수행되지 않는다. 순서 : 타당성 검토->계획->요구 분석->설계->구현->시험->유지보수 3)프로토타입 모형 -소프트웨어에 대한 견본품을 만들어 최종 결과물을 예측하는 모형 -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중점을 두어 개발 -시스템의 일부 혹은 시스템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