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상태관리
- Null Safety
- 안드로이드
- GetX
- flutter
- auth
- swift
- IOS
- 1과목
- firebase_auth
- 이메일
- StatefulWidget
- UserAccountsDrawerHeader
- Provider
- BottomNavigationBar
- 안드로이드 스튜디오
- 변수
- dart
- Kotlin
- firebase
- go_router
- setState
- Android
- 함수
- Cocoa touch Framework
- 로그인
- java
- 정보처리기사
- 회원가입
- non-nullable
- Today
- Total
목록iOS swift (9)
앱 개발 공부방

viewDidLoad() - 뷰 컨트롤러의 모든 뷰들이 메모리에 로드됐을 때 호출 - 메모리에 처음 로드될 때 한번만 호출 - 보통 딱 한번 호출될 행위들을 이 메소드 안에 정의 함 - 뷰와 관련된 추가적인 초기화 작업, 네트워크 호출 viewWillAppear() - 뷰가 뷰 계층에 추가되고, 화면에 보이기 직전에 매 번 호출 - 다른 뷰로 이동했다가 돌아오면 재호출 - 뷰와 관련된 추가적인 초기화 작업 viewDidAppear() - 뷰 컨트롤러의 뷰가 뷰 계층에 추가된 후 호출됩니다 - 뷰를 나타낼 때 필요한 추가 작업 - 애니메이션을 시작하는 작업 viewWillDisappear() - 뷰 컨트롤러의 뷰가 뷰 계층에서 사라지기 전에 호출됩니다 - 뷰가 생성된 뒤 작업한 내용을 되돌리는 작업 - 최..

아웃렛 변수,IBOutlet 스토리보드에 등록한 UI오브젝트에 접근하여 컨트롤하기 위해 변수에 바인딩한 UI오브젝트 변수 오브젝트 클릭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끌어당겨서 ViewController아래에 내려준다 import UIKit class ViewController: UIViewController { @IBOutlet weak var colorView: UIView! override func viewDidLoad() { super.viewDidLoad() // Do any additional setup after loading the view. } } 추가해주면 위처럼 colorView라는 아웃렛 변수가 선언된다 액션 함수,IBAction 버튼이 클릭되었을 때 클릭이 되었다고 알려주는 등하는 액..

AutoLayout 두 뷰의 사이의 관계를 제약 조건을 이용해서 뷰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 아이폰 미니, pro 등 해상도가 다른데 AutoLayout을 통해 같은 비율로 ui구성 가능 Add New Constraint 뷰간에 제약 조건을 설정 스토리보드 하단에 저 빨간 동그라미 사진처럼 다양한 곳으로 제약조건 설정 가능 Align 스토리보드 하단바에 Add New Constraint 왼쪽 버튼 뷰간의 정렬을 설정 정렬하고 싶은 두 개의 뷰를 선택 후 수직 수평 정렬 등을 추가 가능

Cocoa touch Framework iOS 개발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최상위 프레임워크 UIkit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고 이벤트를 처리하는 게 주요 목적인 프레임워크 제스처 처리, 애니매이션, 그림 그리기, 이미지 처리, 테이블 뷰, 버튼, 슬라이더 등 다양한 요소 포함 UIkit의 대표적인 계층도 ViewController 앱의 근간을 이루는 객체 모든 앱은 최소한 하나 이상의 viewController를 가지고 있다 역활 데이터 변화에 따라서 뷰 컨텐츠를 업데이트 뷰들과 함께 사용자 상호작용에 응답 뷰를 리사이징하고 전체적인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 관리 다른 뷰 컨트롤러 들과 함께 앱을 구성한다

클로저 코드에서 전달 및 사용할 수 있는 독립 기능 블록이며, 일급 객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급 객체라서 전달 인자로 보낼수 있고 변수 상수에 저장하거나 전달 가능하고 함수의 반환 값이 될 수 도 있다 기본형 { {매개 변수) -> 리턴 타입 in 실행 구분 } //파라미터와 리턴타입 둘다 없는 클로저 let hello = { () -> () in print("helle") } hello() //hello //파라미터와 리턴타입 있는 클로저 let hello2 = { (name: String) -> String in return "hello, \(name)" } hello2(name: "choi") //에러 hello2("choi") //hello choi //함수의 파라미터가 클로저 func doS..

함수 작업의 가장 작은 단위이자 코드의 집합 기본형 func 함수명(파라미터 이름: 데이터 타입) -> 반환 타입{ return 반환 값 } 기본적인 형태 func sumNumber(num1:Int,num2:Int) -> Int { return a+b } sum(a: 5, b:7) // 12 파라미터가 없는 함수 func printChar() -> String{ return "hello" } printChar() //"hello" 파라미터 기본값 지정 함수 func defalutValue(name1:String,name2:String="choi"){ print("\(name1) 과 \(name2)") } defalutValue(name2: "jy") //jy과choi 파라미터 이름을 to 나 from 처..

조건문 if나 switch를 사용하여 조건을 검사하는 문 if var age = 27 var type = "" if age >= 8 && age < 14 { student = "초등학생" } else if age < 17 { student = "중학생" } else if age < 20 { student = "고등학생" } else { student = "성인" } student // 성인 switch var age = 27 var student = "" switch age { case 8..

옵셔널 선택적이라는 뜻으로 값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변수의 자료형 뒤에?를 붙여서 옵셔널 변수 선언 var optionalName:String?="choi" print(optionalName) // Optional("choi")라고 출력 var otherName:String = optionalName//에러 optionalName은 옵셔널 변수이기 때문에 choi라고 출력되지 않고 Optional("choi")로 출력된다 실행되기 전까지 값이 있는지 없는지 몰라서 대입 불가 옵셔널 바인딩 Optional("choi")처럼 출력된 것을 해제하는 법 옵셔널 바인딩은 옵셔널의 값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한 뒤, 존재한다면 그 값을 다른 변수에 대입 if let 또는 if var를 사용 옵셔널의 값을 벗..